[(주) 윈스]비즈니스/ 리더십 코칭
이수민 대표는 국내 4위 정보보안 우수기업 주식회사 윈스의 대표, 임원들을 대상으로 2022. 7월 ~ 2023.4월 현재까지 약 8개월간 비즈니스/리더십 코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리더십 교육은 리더들이 체계적으로 리더십 이론과 실천방안에 대해 배우지만, 교육 후 그들이 업무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이론과 괴리가 있고 다양하고 복잡한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죠.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장기간의 1:1 코칭으로 진행했습니다. 임원들 개인이 현재 직면한 비즈니스와 리더십 이슈를 가지고,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결할 것인지 원칙과 기준, 해결방향을 수립하는데 초점을 두었습니다. 또한 바로 적용해 보고 그 결과에 대해서 피드백 받는 선순환의 구조로 진행했죠.
변화는 자연스럽게 일어났습니다. 리더들의 접근 방식이 달라지자 구성원들의 업무 역량이 좋아졌고, CEO 등 상사들의 평가도 좋아졌습니다.
변화는 좋은 말이나 생각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죠. 실제적인 리더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고 싶은가요? 행동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은 구조화된 코칭 프로세스와 이것을 다루는 코치의 역량입니다.
바로 SM&J의 코칭 프로세스와 코칭 역량이라고 자신있게 말씀드립니다.
이수민 대표가 DBR(동아비즈니스리뷰)에 연재하고 있는 《조직문화와 리더십》 관련 칼럼 내용을 중심으로 하되, 다양하고 복잡한 현실 상황에 적합한 실제적인 코칭으로 진행합니다.
아래는 (주)윈스의 임원들의 코칭 소감문입니다.
《수강 前 가졌던 코칭에 대한 생각》
“정해진 주제를 가지고 매차별 강의형태의 주입식 교육 형태로 생각했습니다.” (Y이사 )
“이전 비즈니스 및 리더십 관련 교육을 집체 교육이나 동영상 강의로 받았던 것과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해서 코칭에 대한 기대치가 그리 높지 않았습니다.” (L 실장)
리더십에 대한 일반론, 전문지식 측면의 강의를 통한 리더십 교육 형태를 예상.
커리큘럼 방식의 주차/월차식 교육과 실습 진행 예상.(J 이사)
《코칭 소감》
“초기에는 코칭 주제를 스스로 구체적으로 생각하여 제시하는 것이 부담이었나, 실제 업무를 진행하면서 고민했던 것이나 개선안을 찾는 방법에 대해서 배우고 의견을 나누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리더로서 “말과 행동이 아닌 결과로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을 항상 생각하며 결과 중심의 목표/전략 수립하는 능력을 더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L 실장)
“일반적 리더십 코칭(교육)은 특정한 커리큘럼으로 체계화된 지식전달 및 실습을 진행합니다. 그동안 이러한 형태의 교육을 받아 본적이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체계적 지식 습득과 잘 될 것 같은 동기부여였던 거 같습니다. 하지만, 현실로 돌아와 보면 일정부분의 괴리와 다양한 케이스앞에 어려움이 존재했었습니다.
이번 코칭은 이슈 중심의 실질적 케이스의 문제 풀이식, 원칙과 기준 수립을 통해 이뤄졌으며, 기존 교육에서의 막연한 희망과 실제에서 어려움이 아닌, 바로 적용해 보고 또한 그 결과에 대해서도 피드백 받아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J이사)
“실제로 행동으로 바뀐 부분은 매일 생각을 정리하고, 회의 및 아이디어 도출 과정 중에 “공감”해주고, 자발적으로 아이디어를 도출 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중간 진행 사항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회의 형태를 변경했습니다. 결과물에 있어서도, 조금 더 디테일하고 본연의 업무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 팀원들이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Y이사)
“일방적인 교육이 아닌, 실제 조직 운영시 고민의 해결 방안 등으로 접근하여 실제 바로 적용가능한 부분과 지속 관리 하는 부분에 대하여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현재까지 나의 고민거리가 너무 거시적이고, 해결할 수 없는 것에 집중한 것을 확인한 후 고민해 봤자 해결할 수 없는 것에 집착하지 말고, 대신에 내가 해결 가능한 것을 정의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끼고 그렇게 실행하게 되었습니다.
연구소 개개인의 조직원을 새로운 시각과, 관리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J 소장)
《특히 이런 리더에게 코칭을 추천합니다!》
“조직 구성원이 무엇을 바라고, 동기 및 능력 수준을 어떻게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향을 수립하고 싶은 리더 (모든 리더에게 해당될 것 같습니다.) 체계적이고 전략적 목표 수립 능력 배양이 요구되는 리더” (L 실장)
“관리자 업무를 이제 시작 하는 분들에게도 추천하고 싶으나, 특히 일정기간 관리 업무 수행하며 다양성과 복잡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께 추천하고 싶습니다.”(J 이사)
신규 및 오랜 경력의 팀장 모두에게 팀과 조직 관리측면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신규 팀장 :
조직의 비전과 조직원 관리의 이해 충돌을 해결하고, 부서간의 업무 조율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오랜 경력 팀장 :
자신의 조직 신념이 회사의 신념과 맞는 것인지 다시 돌아보고, 막연한 조직 관리에서 좀더 명확한 데이터 관리 등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J소장)
《주요 코칭 이슈》
나의 신뢰도에 대한 수준 진단
직원들의 기존 업무 변화에 대한 거부감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까?
직원들과 소통을 잘 할 수 있는 방법
영업 능력 및 동기수준 측정하고 부족한 직원의 개선 방안 수립
개선을 위한 체크리스트 작성, OJT 등의 실행 방법과 피드백
사업계획 및 목표 설정 및 리스크 관리방법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통한 사업 계획 수립
Lock-in을 할 수 있는 구체적 전략 수립 방법
OKR 수립 방법
조직파악을 위한 면담 및 TFT 운영 방법 (L 실장,10/10점)
*************
리더는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고, 옳게 가는 방법
구성원들을 한 방향으로 목표를 제시하고, 정렬하는 법
“지시”의 방법과 기준 선정 방안
목표에 집중하고, 중요메시지를 일치/참여시킨다
나의 성향을 기준으로 팀원들을 다그치거나 확정하지 않는다->시간을 준다.
일정기간의 업무 진행사항을 이끌어가는 방법
내가 하고 있는 많은 고민을 하루하루 정리하고 집중 검토하여, 실행하는 법
Node를 설정하고 팀원들과의 공감/친밀감 개선 (Y이사 9/10점)
***************
신뢰하기, 위임하기 : 관리, 피드백의 단계 만들기
긍정적 자세 : 현명한 사람은 가능성 (확률) 높인다.
여러 업무 수행 : 우선순위와 용인 범위를 정한다.
리더란, 어떠한 순간에도 열정, 의지 잃지 않는다.
감정 노트 만들기
걱정 노트 만들기
역량 평가표 작성 및 표준화 진행
관계 구축 : 벤자민 ‘프랭클린 효과'
면담 시나리오 작성 (J이사 10/10점)
**************
상사/타 조직에 내용 전달 방법
조직간 업무 우선순위 설정
타 조직과의 의견 및 주요 이슈 해결 방법
퇴직자 관리 방안
조직(팀) 인원 이탈 이슈 해결방안
조직 구성원의 불만 처리 개선방안
구성원들의 협업 업무 깨짐 현상 극복 방안
비정상의 일상화 현상을 개선하는 법
조직의 재활성화 방안 (J소장 9/10점)
감사합니다.
그냥 코칭 스킬 말고
[기억하고 행동하게 하는 코칭] 과정이 필요한 담당자는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