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J 리더십 칼럼] No.4왜 일하는가? 동기와 잡 크래프팅의 효과_백수진 박사

“당신은 왜 일하는가?”

누구나 알고 있듯이 일을 하는 이유, 즉 일의 동기는 매우 중요하다. 동기에 따라 행동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일을 할 때 어떤 방향으로, 어느 정도로, 얼마나 노력을 지속할지 결정하는 것이 동기이다.


자율성 정도에 따른 6가지 동기

동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로체스터 대학교 에드워드 데시(Edward Deci)와 리처드 라이언(Richard Ryan)교수의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을 통해 알아보자.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동기를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한다고 한다. 그리고 자율성 정도에 따라 동기는 6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무동기(amotivation)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무언가 하려는 의지가 전혀 없이 매우 수동적으로 일한다. 동기가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일을 할 역량이 없거나 일의 결과에 확신이 없을 때 나타난다.

둘째, 외적 동기(external regulation) 상태이다.

보상을 받거나 압박감과 처벌을 피하기 위해 일하는 상태이다. 일을 생계 수단으로만 느끼고 있을 때 나타난다.

셋째, 주입 동기(introjected regulation)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사 등 다른 사람에게 인정 받거나, 비판 받지 않기 위해 일한다. 불안감, 수치심, 죄의식 등 감정적 압박을 많이 느끼고 있을 때 나타난다.


외적 동기와 주입 동기는 외부 요인에 통제를 받아 일하는 것이므로 ‘통제 동기’라고 한다. 자율성이 거의 없는 경우이다.


넷째, 동일시 동기(identified regulation)이다.

이 상태에서는 일과 자신의 성장을 동일시하며 일한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자신의 목표 달성과 부합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통합 동기(integrated regulation)이다.

자신의 가치, 목표, 욕구를 통합해서 일의 목적과 연관시키는 상태이다. 그 결과 일의 가치를 인식하며 조직내에서 중요한 구성원이 되고자 열심히 일한다.

여섯째, 내적 동기(internal motivation)이다.

일 자체를 좋아해서 스스로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상태이다. 일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경험하며 일의 결과와 상관없이 만족감이 높다.


네번째부터 여섯 번째 동기는 외부 요인이 아닌, 자율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자율성 동기’라고 한다.


동기부여 프로파일 유형

여기서 질문 하나를 하자. 직장인들은 자율성 동기를 가진 사람이 많을까? 통제 동기를 가진 사람이 많을까? 아니면 특별한 생각 없이 시키면 시키는 대로 일하는 사람이 많을까?

워크샵에서 이런 질문을 하면 대개 통제 동기를 가진 사람이 많을 것이라고 대답한다. 과연 그럴까? 결론부터 말하면, 자율성 동기와 통제 동기를 가진 사람의 비율은 비슷하다.

직장인들은 6개의 동기 중 일부를 동시에 가지고 일한다. 다만 각 동기들의 보유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동기부여 프로파일 연구에 따르면 6개의 동기들이 결합되는 패턴은 다음과 같다.


1. 무동기화
무동기 점수가 가장 높고, 다른 동기 점수는 매우 낮다. 타성에 젖어서 아무런 목적과 의미 없이 일하는 사람들이다. 모든 유형 중에서 직무만족도가 제일 낮은 반면, 번아웃은 제일 높다. 대상자의 약 1.8%가 이 패턴에 속한다.

2. 중간 수준의 무동기화
여전히 무동기 점수가 가장 높고, 다른 동기 점수는 낮다. 첫 번째 무동기화 패턴보다는 수치가 낮은 편이지만, 동기가 없다는 것은 동일하다. 따라서 무동기화와 유사한 행동 경향을 가진다. 목적과 의미 없이 일하는 사람들이다. 약 30.4%가 이 패턴에 속한다. 특히 관료적인 조직문화를 가진 곳에서 이런 경향이 많이 드러난다.

3. 높은 내적 동기화
무동기, 외적동기, 주입 동기의 점수는 낮다. 반면에 동일시 동기, 통합 동기, 내적 동기의 점수는 높다. 통제 동기가 낮고, 자율성 동기가 높은 이 유형은 일이 즐겁고 스스로 일에서 의미와 목적을 찾아 일한다. 직무만족도가 제일 높다. 이 유형에 속하는 사람은 약 3.7%이다.

4. 높은 동기화
통제 동기와 자율성 동기 모두 높은 유형이다. 외적동기, 주입 동기, 동일시 동기, 통합 동기, 내적 동기의 5가지 동기 점수가 모두 높다. 무동기를 제외하고 말이다. 재미있게 일에서 의미를 찾으며 성장과 발전을 위해 일한다. 동시에 인정 받거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압박감 또한 느끼며 일한다. 이 유형에 속하는 사람은 11.6%이다.

5. 안정된 동기화
통제 동기와 자율성 동기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은 ‘높은 동기화’ 유형과 같다. 다만 외적동기, 주입 동기, 동일시 동기, 통합 동기, 내적 동기의 5가지 동기 점수가 모두 낮은 편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사람은 52.3%이다. 우리나라 직장인 중 가장 많은 비율이다.


프로파일 결과에서 자율성 동기와 통제 동기를 가진 사람들의 비율은 각각 64%, 67%로 비슷하게 많다. [높은 동기화], [높은 내적 동기화], [안정된 동기화]의 유형을 고려하여 나온 비율이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자율성 동기와 통제 동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약 64%이다. 직장인들은 자율성 동기 또는 통제 동기 중 한 가지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10명 중에 약 6.4명이 여기에 속한다. 그러므로 아마 당신도 자율성 동기와 통제 동기 모두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참고로 우리나라 중견기업과 대기업 종사자 4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이다. 이 비율은 조직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그렇다면 각 동기와 성과와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동기와 잡 크래프팅의 효과」의 이야기는 [2025년 2월호]에서 계속됩니다~!
[SM&J_ 리더십 칼럼]을 구독 신청하세요! 후속 칼럼을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백수진 박사가 전해주는 잡 크래프팅 워크샵 뒷이야기
“무엇이 워크샵 결과에 영향을 미칠까?”

주로 어떤 곳에서 잡 크래프팅 워크샵(이하 워크샵)을 도입할까? 내가 강의한 곳은 대부분 대기업과 공공기관이었다. 삼성전자, 기아자동차, LG화학, 효성그룹, 롯데멤버스, 화성시청 등 누구나 아는 곳이다. 그런데 워크샵 결과는 어떨까?

기업과 기관의 규모와 명성에 비례했을까? 아니다. 솔직히 기대한 결과에 미치지 못한 곳도 있다. 이런 곳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1. 참가자들의 조직 충성도가 아주 낮다.

교육으로 업무 동기를 높일 수 있을까? 일반적으론 그렇다. 하지만 조직 충성도가 낮은 직원에겐 어렵다. 교육 몰입도가 낮을 뿐 아니라, 워크샵 자체를 무시하는 경우도 많다.

심하면 ‘회사에서 왜 이런 교육을 하지’라고 의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참가자들이 많을수록 교육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아무리 잘 구조화된 워크샵이더라도 그렇다.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가능한 워크샵 참가 인원을 소수로 해야 한다. 강사나 동료와 소통하는 시간을 늘려 마치 1:1 코칭을 받는 느낌을 주어야 한다.


♠ 계속 업데이트되는 리더십 문제해결 가이드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SM&J 리더십 칼럼] 을 구독신청해주세요.

신청해주신 분들에게 리더십 문제해결에 아주 유용한 리더십 가이드(월 1~2회)를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구독료는 무료입니다.
단, 제3자 공유 시 저작자는 명기해주세요~

[SM&J_ 리더십 칼럼] 구독 신청 페이지!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379973


그냥 잡 크래프팅 말고 [일의 의미를 인식하고 동기와 몰입을 높여주는 잡 크래프팅] 과정이 필요하신 담당자는 연락주세요~!

백수진 박사
SM&J PARTNERS
sjbaik@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잡 크래프팅》 연재칼럼 저자
전>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

[SM&J 리더십 칼럼] No.3왜 진짜 리더가 되기 어려운 것일까? 두 번째 이야기_이수민 대표

“성과를 지속적으로 만드는 리더가 진짜 리더이다!”

지난 2024. 8월 출간된 이수민 대표의 저서「불편하지만 진짜 리더가 되고 싶은가요?」를 읽은 독자들의 서평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문구이다. ‘지속적 성과 창출’은 책의 핵심 주제이자 가장 본질적인 리더의 존재 이유이기도 하다.

이 말에 동의하지 않는 리더가 있을까? 건강한 리더 중엔 없을 것이다. 누구나 자신도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그 말이 진심일까?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다. 말 자체는 의미가 없다. 중요한 건 행동이다. 자신의 말에 행동으로 책임지는 리더가 진짜 리더이다. 쉽지 않는 일이다. 그래서 진짜 리더는 드물다.

어렵지만 진짜 리더가 되고 싶은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 ‘리더가 빠지기 쉬운 다섯 가지 착각’ 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 중 첫 번째(사람이 가장 중요하다)와 두 번째(누구에게나 동기 부여해야 한다) 착각은 지난 호(SM&J 리더십 칼럼 No.2)에서 다뤘다. 이번 글에서는 세 번째 착각을 얘기해보려 한다.


세 번째 착각,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

배가 고프다. 마침 감나무가 보인다. 그 아래서 입을 벌리고 감이 떨어지길 바랐다. 그런데 아무리 기다려도 감이 떨어지지 않는다. 바람이 부족한 것 같다. 이번엔 온 정성을 다해 간절히 바란다. 이번엔 감이 떨어질까?

건강한 조직에서 건강한 리더라면 누구나 진짜 리더로 성장하길 바란다. 조직과 구성원 모두에게 인정받는 모습을 꿈꾼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짜 리더는 드물다. 이유가 뭘까? 간절하지 않아서? 아니다. 아무리 감을 원해도 그 바람만으로 감이 입에 떨어질 리 없다. 만에 하나 그렇게 되더라도 우연일 뿐이다. 리더가 의지할 변수는 아니다.

원하면 모두 이루어진다고 착각하지 말자. 아무리 간절히 원해도 이것이 없거나 부족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무엇일까? 행동? 반만 맞는 말이다. 정확히는 ‘행동의 지속’이다.

건강한 몸을 만들려고 운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헬스장에 등록해 처음 몇 주 동안은 매일 열심히 운동한다.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운동횟수는 점점 줄어든다. 이제 주1회 하기도 버겁다. 원하는 몸이 만들어졌을까? 아니다. 일시적 행동만으로 완성되는 변화는 없다.

실패한 리더십 변화 과정(원한다 → 변화된 행동을 한다 → 행동을 지속하지 않는다 →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간다)도 같다. 여기서 ‘원한다’를 ‘간절히 원한다’로 바꿔도 행동의 지속이 없다면 달라지는 건 없다.

문제는 행동의 지속이 말처럼 쉽지 않다는 데 있다. 간결한 커뮤니케이션으로 빠른 일처리를 선호하는 리더를 예로 들어보자. 그는 리더십 교육을 받고 직원 말을 끝까지 잘 들어주는 리더가 되고 싶어한다. 가능할까?

처음 몇 번은 직원 말 하나하나 경청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직원들의 달라진 시선을 보며 원하면 이루어진다는 착각도 한다. 하지만 ‘지속’은 다른 문제다.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면서 자신의 의지력 탓을 하기도 한다. 정말 의지력이 문제일까?


아니다. 의지력과 지속성은 완전히 다른 영역이다. 지속성을 만드는 것은 의지가 아니라 습관이다. 의지력을 유지하려면 뇌가 인지적 자원(cognitive resources) 소모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인지적 자원 양이 제한적이란 것이다. 따라서 의지력에 무한정 주의를 기울일 수 없다. 게다가 주의가 필요한 곳도 리더십 변화만이 아니다. 무궁무진하다. 보고, 회의, 의사 결정, 팀원 평가, 사업 분석 등 리더의 활동 중 어느 하나 주의가 필요하지 않는 곳은 없다.

뇌과학의 발달 이후 행동 변화에 특히 습관이 강조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습관은 주의의 도움 없이 나오는 무의식적 행동으로 자원의 소모가 아주 적다. 따라서 행동을 지속시키려면 행동의 습관화가 필수적이다.

원하는 것 자체가 나쁘다는 말은 아니다. 다만 그것만으로 무언가를 이룬 것 같다는 착각에선 벗어나야 한다. 당연하다고 생각하는가? 하지만 감이 저절로 떨어지기만 바라는 리더들이 참 많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구성원들에게 진짜 리더로 인정받기 원한다. 하지만 행동의 변화는 없다.
• 조직에 해가 되는 직원이 떠나기만 바란다. 하지만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
• 조직의 성과가 높아지길 간절히 원한다. 하지만 리더십과 업무 방식은 그대로이다.

착각에서 벗어나 원하는 것을 이루고 싶다면 다음 두 가지를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1. 변화에 필요한 행동을 지속할 자신이 없으면 처음부터 시도하지 않는다.
2. 일단 새로운 행동을 시작하면 그 행동이 습관이 될 때까지 지속한다.


「리더가 빠지기 쉬운 다섯 가지 착각」 중 나머지 착각들에 관한 이야기는 다음 칼럼(2025년 1월호/ 2월호)에서 계속됩니다~! 현실적이면서 명쾌한 [이수민 대표가 만난 리더 이야기]도 함께 하니, [SM&J 리더십 칼럼] 을 구독 신청해주세요!


이수민 대표가 만난 리더 이야기

코칭 받는 태도가 남달랐던 젊은 임원이 있었다. 어느 중견 기업에서 만난 R&D 담당 임원 이야기다. 첫 만남은 시큰둥했다. 나중에 들으니 코칭이 다른 리더십 교육과 같을 거라 생각했다고 한다. 하지만 코칭이 자신의 실제 문제 해결 중심으로 진행되자 태도가 달라졌다. 코칭에 완전히 몰입했다. 매번 적극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가지고 왔다.

“나이도 경력도 더 많은 A팀장이 저의 지시를 종종 무시합니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직원들 역량이 떨어져, 임원인 제가 직접 업무 처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옳지 않은 것은 아는데, 급한 업무가 계속 쌓이다 보니 어쩔 수 없습니다. 어떻게 대응하는 게 좋을까요?”

같이 고민하고, 같이 해답을 찾아갔다. 참 재미있었다. 그와의 코칭은 예정된 시간을 초과하기 일쑤였다.

코치는 질문만 던지고 답은 상대가 찾게 하는 우리나라 일반적 코칭과는 다른 형태이다. 개인적으론 이런 코칭이 리더에게 더 필요한 코칭이라 생각한다. 리더의 성과는 실제 문제 해결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흑묘백묘(黑猫白描) 아닌가? 어느 방법도 좋다.

하지만 한 가지 방법만을 절대시하진 말자. 문제해결에 도움이 된다면 질문이 아니라 답도 함께 찾자. 능력이 되면 답을 알려줘도 좋다.

리더 코칭이 성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회사 지원? 경영층 관심? 코치 역량? 물론이다. 하지만 이것들은 필수 조건일 뿐이다. 충분 조건이 있어야 한다. ‘코칭 대상자의 진짜 문제 다루기’가 충분 조건이다. 당연하다고 생각하는가? 그럴까?

실제 코칭 현장에서는 가짜 문제에 속는 경우도 많다. 다음과 같은 문제는 가짜 문제일 가능성이 많다. 꼭 확인하길 바란다. 귀한 자원이 헛되이 낭비될 수 있다. 이미 많은 기업에서 그랬듯이.

• 일반적인 문제. “구성원들과 소통을 잘 하고 싶습니다”
→ 자신의 진짜 문제가 아니다. 많이 들은 주제라 생각 없이 말했을 가능성이 크다.

• 자신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 “회사의 경직된 조직문화를 활기차게 바꾸고 싶습니다”
→ 이런 문제를 들어주면 코칭 자리가 소원 수리 장으로 전락하고 만다. 결과가 나지 않는다.

• 배움만이 목적인 문제. “리더십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리더십 방법들을 알려주세요”
→ 코칭에 열심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리더 코칭은 학교 교육과 다르다. 행동 변화와 성과 창출이 목적이다. 절대 배우는 것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공부하려는 모습에 속지 말자.


♣ 계속 업데이트되는 리더십 문제해결 가이드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SM&J 리더십 칼럼] 을 구독신청해주세요.

신청해주신 분들에게 리더십 문제해결에 아주 유용한 리더십 가이드(월 1~2회)를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구독료는 무료입니다.
단, 제3자 공유 시 저작자는 명기해주세요~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SM&J_ 리더십 칼럼] 구독 신청 페이지 링크


조직관리, 직원관리가 어려우신가요?

리더의 현재 비즈니스/리더십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문제해결 중심 비즈니스/리더십 코칭]을 도입해보세요~

문제해결 리더십 코칭 전문가,
《불편하지만 진짜 리더가 되고 싶은가요?》저자 이수민 대표가 코칭을 진행합니다.
리더들의 만족도 뿐만 아니라 높은 성과를 경험하실겁니다.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불편하지만 진짜 리더가 되고 싶은가요?》,《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